의상학
마감임박- 미용학
- 촬영교수
- 박선지교수소개
- 학점
- 3학점
- 신청기간
- 2024.12.16 ~ 2025.04.02
- 학습기간
- 2025.04.03 ~ 2025.07.16
- 수강료
210,000원
75,000원
- 관련전공
강좌소개
수업개요 | 의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합리적 활동 수행을 위한 기본적인 트렌드 분석과 리서치에 의해 유행의 흐름을 이해하고 패션 트렌드, 패션 아이템, 시즌 별로 나누어 진행하고, 의상, 액세서리, 소품, 헤어, 메이크업에 이르기까지 토털 코디네이션 기법을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근·현대 패션에 대한 최신 패션경향을 분석하여, 모드와 패션 트렌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목표로 패션 시장조사와 수집,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콘셉트에 따른 패션 유형을 알아보고, 새로운 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토털 코디네이션을 위한 메이크업과 의상의 사례별 연출능력 적용분석을 통한 다양한 패션 테마별 메이크업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력 및 응용력을 기른다. | ||||||||||||||
---|---|---|---|---|---|---|---|---|---|---|---|---|---|---|---|
수업목표 | ● 패션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디자인의 요소를 학습하여 패션디자인의 기본 토대를 닦을 수 있다.
● 색채의 감성과 이미지를 이해하고 패션 및 헤어, 메이크업 스타일링에 활용할 수 있다. ● 소재의 감성과 문양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 패션디자인의 원리를 설명하고 디자인 및 스타일링에 적용할 수 있다. ● 패션디자인 발상의 개념과 조건 및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패션 테마의 분석을 통해 패션 트렌드를 이해하고 패션 시장조사와 수집, 분석 능력을 길러 새로운 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다. ● 패션. 액세서리 아이템의 종류를 구분하고 각 아이템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근 · 현대 패션을 이해하고 패션 컬렉션별 특징을 학습하여 패션 모드와 시즌별 트렌드의 흐름을 서술할 수 있다. ● 체형별, 사례별 코디네이션 기법을 이해하여 토탈 코디네이션 능력을 기를 수 있다. |
||||||||||||||
평가기준 |
|
||||||||||||||
수료기준 | 출석률80%, 상대평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모두 미응시 시 미수료) | ||||||||||||||
특이사항 |
강의계획서
과목명 | 교수명 | 교수연락처 | 이메일 | 년도/차시 |
---|---|---|---|---|
의상학 | 박선지 | 1644-3434 | info@ibstudy.co.kr | 2025년 1-5차 |
학습기간 | 강의시간 | 학점 | 평가구분 | 수강대상 강의실 및 주요 수업방법 |
2025년 04월 03일 ~ 2025년 07월 16일 | 15주 | 3 | 상대평가 |
<수강대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자 <주요 수업 방법> -원격강의 |
평가기준 | |||||||
---|---|---|---|---|---|---|---|
출석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 | 토론 | 퀴즈 | 기타 | 계 |
15% | 25% | 25% | 15% | 10% | 5% | 5% | 100% |
과목 수료조건: 총점 60점 이상(60점 미만 F), 출석률 80%이상(출석률 80%미만은 출석과락) |
주요 학사일정 |
|
---|---|
과목개요 | 의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합리적 활동 수행을 위한 기본적인 트렌드 분석과 리서치에 의해 유행의 흐름을 이해하고 패션 트렌드, 패션 아이템, 시즌 별로 나누어 진행하고, 의상, 액세서리, 소품, 헤어, 메이크업에 이르기까지 토털 코디네이션 기법을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근·현대 패션에 대한 최신 패션경향을 분석하여, 모드와 패션 트렌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목표로 패션 시장조사와 수집,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콘셉트에 따른 패션 유형을 알아보고, 새로운 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토털 코디네이션을 위한 메이크업과 의상의 사례별 연출능력 적용분석을 통한 다양한 패션 테마별 메이크업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력 및 응용력을 기른다. |
수업목표 | ● 패션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디자인의 요소를 학습하여 패션디자인의 기본 토대를 닦을 수 있다.
● 색채의 감성과 이미지를 이해하고 패션 및 헤어, 메이크업 스타일링에 활용할 수 있다. ● 소재의 감성과 문양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 패션디자인의 원리를 설명하고 디자인 및 스타일링에 적용할 수 있다. ● 패션디자인 발상의 개념과 조건 및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패션 테마의 분석을 통해 패션 트렌드를 이해하고 패션 시장조사와 수집, 분석 능력을 길러 새로운 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다. ● 패션. 액세서리 아이템의 종류를 구분하고 각 아이템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근 · 현대 패션을 이해하고 패션 컬렉션별 특징을 학습하여 패션 모드와 시즌별 트렌드의 흐름을 서술할 수 있다. ● 체형별, 사례별 코디네이션 기법을 이해하여 토탈 코디네이션 능력을 기를 수 있다. |
상대평가 안내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에 따라 평가는 상대평가로 진행됩니다. (교육부 고시 제 2015-85호, 2016년 1월 6일 제정, 2016년 1월 1일 시행) 상대평가에 의거하여 학습자의 순위에 따라 백분율로 산정되며 A(30%), B(40%), C이하(30%)의 비율을 기준으로 성적이 부여됩니다. 또한 부여받은 점수는 최종 점수조정을 거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최종적으로 성적보고가 됩니다. (출석률 80%미만, 상대평가 점수 60점 미만은 F처리되며 상대평가에서 제외됩니다.) |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
---|---|---|---|---|
제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의 개념 |
|
|
학습내용 | 1. 패션의 개념과 범주 2. 패션의 주기 3. 패션의 특징 4. 패션전파이론 5. 패션 관련 용어 6. 디자인의 개념 7. 패션디자인의 개념과 목표 |
|||
학습목표 | 1. 패션의 개념과 범주를 제시할 수 있다. 2. 패션의 주기를 나열할 수 있다. 3. 패션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4. 패션전파이론을 열거할 수 있다. 5. 패션 관련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6. 디자인의 개념과 조건, 영역을 서술할 수 있다. 7. 패션디자인의 개념과 목표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의 요소 1 |
|
|
학습내용 | 1. 패션디자인과 선 2. 패션디자인과 형태 |
|||
학습목표 | 1. 패션디자인 요소 중 선(직선, 곡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패션디자인 요소 중 형태(실루엣)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
|||
제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의 요소 2 |
|
|
학습내용 | 1. 복식 구조에 따른 디테일 2. 네크라인 3. 칼라 4. 소매 5. 커프스 6. 포켓 |
|||
학습목표 | 1. 복식 구조에 따른 디테일과 장식을 목적으로 하는 디테일을 구분할 수 있다. 2. 네크라인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3. 칼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4. 소매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5. 커프스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6. 포켓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의 요소 3 |
|
|
학습내용 | 1. 장식을 위한 디테일 2. 디테일의 종류 3. 트리밍의 종류 |
|||
학습목표 | 1. 장식을 위한 디테일을 유형별로 나열할 수 있다. 2. 디테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3. 트리밍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
|||
제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패션 아이템의 종류 1 |
|
|
학습내용 | 1. 상의 2. 아우터 |
|||
학습목표 | 1. 상의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아우터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패션 아이템의 종류 2 |
|
|
학습내용 | 1. 하의 2. 드레스 |
|||
학습목표 | 1. 하의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드레스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과 색채 1 |
|
|
학습내용 | 1. 색의 개념 2. 색의 분류와 3속성 3. 색채의 연상과 감정효과 |
|||
학습목표 | 1. 색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색의 분류와 3속성에 대해 구분할 수 있다. 3. 색채연상과 감정효과를 기술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과 색채 2 |
|
|
학습내용 | 1. 색채 이미지 2. 배색효과 |
|||
학습목표 | 1. 색채 이미지를 구분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색의 배색효과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
|||
제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과 소재 |
|
|
학습내용 | 1. 소재의 개념과 종류 2. 소재의 생산과 가공 3. 소재와 재질감 1 |
|||
학습목표 | 1. 소재의 개념과 종류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소재의 생산과 가공에 대해 학습하고 기술할 수 있다. 3. 소재의 재질감을 구분하여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과 문양 |
|
|
학습내용 | 1. 소재와 재질감 2 2. 사실적 문양과 양식화 문양 3. 기하학 문양 4. 추상적 문양과 전통적 문양 |
|||
학습목표 | 1. 소재와 재질감을 구분하여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다. 2. 사실적 문양과 양식화 문양을 구분할 수 있다. 3. 기하학 문양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4. 추상적 문양과 전통적 문양을 구분할 수 있다. |
|||
제6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의 원리 1 |
|
|
학습내용 | 1. 비례 2. 균형 3. 통일 |
|||
학습목표 | 1. 비례의 개념과 유형, 황금분할과 비례의 적용 원리를 서술할 수 있다. 2. 균형의 개념과 유형, 대칭균형과 비대칭균형을 서술할 수 있다. 3. 통일의 개념과 유형을 서술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의 원리 2 |
|
|
학습내용 | 1. 리듬 2. 강조 3. 조화 |
|||
학습목표 | 1. 리듬의 개념과 유형, 리듬의 다섯 가지 방식을 서술할 수 있다. 2. 강조의 개념과 유형을 서술할 수 있다. 3. 조화의 개념과 유형, 유사 대비 불일치 등의 유형별 특징을 서술할 수 있다. |
|||
제7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 발상 1 |
|
|
학습내용 | 1. 발상의 개념 2. 발상의 조건 3. 발상의 종류 |
|||
학습목표 | 1. 패션디자인 발상의 개념을 서술할 수 있다. 2. 패션디자인 발상의 조건을 기술할 수 있다. 3. 패션디자인 발상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패션디자인 발상 2 |
|
|
학습내용 | 1. 고대 복식의 특징을 살려 디자인한 예시 2. 중세 복식의 특징을 살려 디자인한 예시 3. 근세 복식의 특징을 살려 디자인한 예시 |
|||
학습목표 | 1. 고대 복식의 특징을 살려 디자인된 창의적 패션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2. 중세 복식의 특징을 살려 디자인된 창의적 패션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3. 근세 복식의 특징을 살려 디자인된 창의적 패션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
|||
제8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패션 감성 이미지 1 |
|
|
학습내용 | 1. 엘레강스 감성의 특징과 코디네이션 2. 스포티 감성의 특징과 코디네이션 3. 모던 감성의 특징과 코디네이션 4. 에스닉 감성의 특징과 코디네이션 |
|||
학습목표 | 1. 엘레강스 이미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2. 스포티 이미지의 특징과 경향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3. 모던 이미지의 개념을 학습하여 미니멀한 스타일을 구분할 수 있다. 4. 에스닉 이미지를 이해하여 그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5. 패션 감성 이미지에 따른 의상 및 메이크업 연출을 제안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패션 감성 이미지 2 |
|
|
학습내용 | 1. 매니쉬 감성의 특징과 코디네이션 2. 로맨틱 감성의 특징과 코디네이션 3. 클래식 감성의 특징과 코디네이션 4. 아방가르드 감성의 특징과 코디네이션 |
|||
학습목표 | 1. 매니쉬 이미지에 따른 특징과 경향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2. 로맨틱 이미지에 따른 코디네이션을 설명할 수 있다. 3. 클래식에 대한 학습을 통해 시장 트렌드를 반영하여 재해석한 클래식을 제안할 수 있다. 4. 아방가르드의 개념을 토대로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코디네이션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5. 패션 감성 이미지에 따른 의상 및 메이크업 연출을 제안할 수 있다. |
|||
제10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패션테마와 예술양식 1 |
|
|
학습내용 | 1. 미니멀리즘 2. 맥시멀리즘 3. 팝아트 |
|||
학습목표 | 1. 미니멀리즘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2. 미니멀리즘에 따른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3. 맥시멀리즘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4. 맥시멀리즘이 반영된 토털 코디네이션을 제시할 수 있다. 5. 팝아트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6. 팝아트가 반영된 패션 및 메이크업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패션테마와 예술양식 2 |
|
|
학습내용 | 1. 옵아트 2. 포스트모더니즘 3. 초현실주의 4. 미래주의 |
|||
학습목표 | 1. 옵아트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2. 옵아트에 따른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3.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4. 포스트모더니즘이 반영된 토털 코디네이션을 제시할 수 있다. 5. 초현실주의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6. 초현실주의가 반영된 패션 및 메이크업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7. 미래주의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8. 미래주의가 반영된 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다. |
|||
제1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패션 테마와 문화현상 |
|
|
학습내용 | 1. 노마드 2. 레트로 3. 보보스 4. 빈티지 5. 양성성 6. 에콜로지 7. 여피 8. 젠 9. 키덜트 10. 키치 |
|||
학습목표 | 1. 노마드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노마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2. 레트로의 개념과 특징의 학습을 통해 레트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3. 보보스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보보스가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4. 빈티지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빈티지가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5. 양성성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양성성이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6. 에콜로지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에콜로지가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7. 여피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여피가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8. 젠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젠이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9. 키덜트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키덜트가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10. 키치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키치가 나타난 패션이미지 및 메이크업을 제시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패션 테마와 하위문화 |
|
|
학습내용 | 1. 주티 2. 테디보이즈 3. 모즈 4. 히피 5. 펑크 6. 그런지 7. 힙합 |
|||
학습목표 | 1. 주티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주티가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2. 테디보이즈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테디보이즈가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3. 모즈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모즈가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4. 히피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히피가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5. 펑크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펑크가 나타난 패션이미지 및 메이크업을 제시할 수 있다. 6. 그런지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그런지가 나타난 패션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 7. 힙합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힙합이 나타난 패션이미지 및 메이크업을 제시할 수 있다. |
|||
제1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1900-1940년대의 패션 흐름 |
|
|
학습내용 | 1. 1900년대 패션과 디자이너 2. 1910년대 패션과 디자이너 3. 1920년대 패션과 디자이너 4. 1930년대 패션과 디자이너 5. 1940년대 패션과 디자이너 |
|||
학습목표 | 1. 1900년부터 1940년대까지 근·현대 패션의 특징을 제시할 수 있다. 2. 각 시대별 대표 디자이너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1950-1990년대의 패션 흐름 |
|
|
학습내용 | 1. 1950년대 패션과 디자이너 2. 1960년대 패션과 디자이너 3. 1970년대 패션과 디자이너 4. 1980년대 패션과 디자이너 5. 1990년대 패션과 디자이너 |
|||
학습목표 | 1. 1950년부터 1990년대까지 근·현대 패션의 특징을 제시할 수 있다. 2. 각 시대별 대표 디자이너를 설명할 수 있다. |
|||
제1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21세기 패션과 컬렉션 1 |
|
|
학습내용 | 1. 패션 컬렉션의 종류와 형태 2. 패션 디자이너의 예술성과 상업성 |
|||
학습목표 | 1. 패션 컬렉션의 종류와 형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패션 디자이너의 예술성과 상업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21세기 패션과 컬렉션 2 |
|
|
학습내용 | 1. 뉴욕 컬렉션과 디자이너 2. 런던 컬렉션과 디자이너 3. 밀라노 컬렉션과 디자이너 4. 파리 컬렉션과 디자이너 |
|||
학습목표 | 1. 주요 패션 도시별 컬렉션에 대해 구분할 수 있다. 2. 주요 패션 도시별 대표 디자이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TPO에 따른 패션 스타일링 |
|
|
학습내용 | 1. TPO 스타일링의 개념 2. 상황별 효과적인 스타일링 3. 직업별 효과적인 스타일링 4. 체형별 효과적인 스타일링 |
|||
학습목표 | 1. 1. TPO에 따른 스타일링을 설명할 수 있다. 2. 상황별 효과적인 스타일링을 제시할 수 있다. 3. 직업별 효과적인 스타일링을 제시할 수 있다. 4. 체형별 효과적인 스타일링을 제시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미디어 스타일링과 코디네이션 기법 |
|
|
학습내용 | 1. 연극, 영화, 드라마 의상 스타일링 2. 방송, 가수의 의상 스타일링 3. 패션 잡지, 패션쇼, 광고 스타일링 4. 패션 코디네이션 기법 |
|||
학습목표 | 1. 연극, 영화, 드라마의 캐릭터 분석에 따른 의상 스타일링에 대해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2. 방송인, 엔터테이너와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른 의상 스타일링에 대해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3. 패션 잡지, 패션쇼, 광고 스타일링에 따른 효과적인 코디네이션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4. 패션 코디네이션 기법을 구분할 수 있다. |
|||
제1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수업 참고사항 | 별도 참고사항이 없습니다. |
---|---|
강의 유형 | 이론중심( V ), 토론, 세미나 중심( ), 실기 중심( ), 이론 및 토론, 세미나 병행( ), 이론 및 실험, 실습 병행( ), 이론 및 실기 병행( ) |
교재 정보 |
교재정보 보기
|
수강후기
교재안내
총 0건교수소개

박선지 교수님
- 주요학력
- 서울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 비지니스학 학사
성균관대학교 의상학(패션디자인) 석사
성균관대학교 예술학(패션디자인) 박사
- 주요경력
- 국제패션디자인전문학교 강사
대경대학교 메이크업과 강사
한국패션실용전문학교 강사
상명대학교 강사